용어 사전
딥링킹(Deep Linking)
용어 | 관련 용어 | 정의 |
---|---|---|
URI (Universal Resource Identifier) | "Universal Resource Identifier"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등록할 수 있는 주소로, 해당 주소 (예: http:// 등)로 오픈할 수 있음을 운영 체제에 알립니다. 디바이스의 앱이 URI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OS는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음" 오류 선택창을 표시합니다. | |
딥링킹(Deep Linking) | 모바일 앱 딥링크는 앱 내부에 있는 콘텐츠를 가리킵니다. 유저가 링크를 클릭하고 관련 앱이 있는 경우 링크를 통해 앱을 오픈하고 광고에 표시되었던 특정 콘텐츠로 바로 연결됩니다. | |
유니버셜 링크(Universal Links) | iOS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딥링킹(Deep Linking) 기술을 통해 권한을 요청하는 브라우저 선택창 없이 앱을 오픈할 수 있습니다.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 기술은 웹 브라우저로 정상적으로 리디렉션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일반적으로 Apple 소유의 플랫폼 (예: Safari, iMessage 등)에서만 작동합니다. | |
AASA (Apple App Site Association) | "Apple App Site Association" 파일은 해당 도메인이 iOS 유니버셜 링크(Universal Links) 기술을 통해 앱을 오픈할 수 있도록 Apple이 도메인에서 호스팅해야 합니다. AASA 파일에는 도메인에서 오픈되는 앱 ID에 대한 참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
안드로이드 앱 링크 | 안드로이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딥링킹(Deep Linking) 기술로, 유저에게 오픈할 앱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안드로이드 "chooser" 선택창 없이 앱을 오픈할 수 있습니다. 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 기술은 웹 브라우저로 정상적으로 리디렉션될 수 있습니다. | |
디지털 자산 링크(DAL, Digital Asset Links) | '디지털 자산 링크' 파일은 도메인이 안드로이드 앱 링크 기술을 통해 앱을 오픈할 수 있도록 Google이 도메인에서 호스팅해야 합니다. DAL 파일에는 도메인에서 오픈하려는 앱 ID에 대한 참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
Facebook 앱 링크 | URI Scheme을 통해 앱을 오픈할 수 있는 웹 URL에 Facebook 전용 메타 태그를 사용하는, Facebook에서 사용되는 딥링킹(Deep Linking) 방법입니다. | |
크롬 인텐츠 (Chrome Intents) | 특정 웹페이지에 특정 HTML 코드를 삽입하여 앱을 직접 오픈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및 Chrome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딥링킹(Deep Linking) 방법입니다. | |
디퍼드 딥링크(Deferred Deep Link) | 설치 이후에 딥링킹(Deep Linking)이 실행되는 경우. | |
앱 인덱싱 | Google 앱 인덱싱은 웹사이트와 앱 링크의 1: 1 매핑입니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웹 링크 및 검색 결과가 유저를 모바일 웹페이지가 아닌 앱 페이지 검색 결과로 이동합니다. Apple의 Spotlight Search도 비슷하여 개발자가 검색 결과에 표시할 앱 콘텐츠를 인덱싱할 수 있습니다. 앱 인덱싱이 작동하려면 딥링킹(Deep Linking)이 필요합니다. |
매칭 및 어트리뷰션
용어 | 관련 용어 | 정의 |
---|---|---|
브라우저 쿠키 | 유저 신원 및 행동을 기록할 수 있는 브라우저 캐시에 저장된 작은 파일입니다. 브라우저 쿠키는 브라우저 외부에서 액세스할 수 없으므로, 다른 브라우저 및 앱은 어트리뷰션 목적으로 쿠키에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 |
쿼리 파라미터 | A key/value pair or “tag” that is appended to the end of a URL to add metadata that is accessible in a web session. In regards to web analytics, these are typically used to attribute web sessions back to a marketing channel. | |
디바이스 ID | 앱 개발자가 디바이스의 개별 인스턴스를 트래킹하기 위해 iOS 및 안드로이드 핵심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니크한 식별자입니다. 웹 브라우저 내의 웹페이지에서는 디바이스 ID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 |
애플 광고 식별자 (IDFA) | IDFA (Identifier for Advertisers)는 모바일 애드 네트워크가 유저를 트래킹하고 타게팅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Apple의 표준입니다. 디바이스의 모든 앱에서 영구적입니다. IDFA를 통해 유저는 언제든지 광고 트래킹을 옵트 아웃하거나 IDFA를 재설정할 수 있습니다. | |
IDFV | 각 앱 공급업체마다 다른 영구 식별자(예: Facebook 및 Facebook Messenger에서는 동일하지만 Twitter에서는 다름). IDFA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대체재로 사용됩니다. | |
어트리뷰션 | 어트리뷰션은 마케터가 측정 가능한 결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 특정 광고 캠페인의 가치와 효과를 측정 할 수 있도록 하는 관행입니다. 모바일 어트리뷰션에는 웹 전용, 앱 전용, 웹 및 앱 (크로스 플랫폼)의 세 가지 어트리뷰션 공급자가 있습니다. | |
편향 어트리뷰션 | '편향된 어트리뷰션'은 트래픽, 설치 및 전환 어트리뷰션과 관련하여 이해 상충이 있는 플랫폼이 자체적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편향되지 않은 써드파티 어트리뷰션을 사용하면 가장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어트리뷰션 윈도우 | 어트리뷰션 윈도우는 전환 이벤트 (예: 앱 설치)가 광고 캠페인 (예: 링크 클릭)을 통해 발생했다고 인정받을 수 있는 기간입니다. | |
사용자 중심 어트리뷰션 | 사용자 중심 어트리뷰션은 모든 플랫폼에서 터치 포인트와 전환을 트래킹하는 어트리뷰션 시스템입니다. 모바일과 웹에서 유저를 식별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동일한 유저가 여러 번 계산되지 않도록 합니다. | |
라스트 터치 어트리뷰션 | 가장 최근의 클릭 또는 임프레션에 이벤트에 대한 크레딧을 부여하는 어트리뷰션 로직입니다. | |
멀티 터치 어트리뷰션(Multi-Touch Attribution) | 이벤트로 이어지는 모든 클릭 및 임프레션에 이벤트에 대한 크레딧을 부여하는 어트리뷰션 로직입니다. | |
조회 후 어트리뷰션 | 클릭 발생 여부에 관계없이 다운스트림 이벤트를 다시 광고 임프레션으로 어트리뷰션하는 기능입니다. | |
MAU(월간 순수 이용자수) | The number of device-level interactions indicating at least one session of a unique user in a given calendar month. |
Branch 핵심 플랫폼
용어 | 관련 용어 | 정의 |
---|---|---|
SDK | SDK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 세트입니다. iOS 용 앱을 개발하는 것과 같이 일반적이거나 Branch 플랫폼을 설정하는 것과 같이 구체적일 수 있습니다. Branch에는 iOS, Andriod, 웹 및 기타 플랫폼용 SDK가 있습니다. | |
API | API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두 앱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중개자입니다. 모든 API가 SDK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는 아니지만 모든 SDK는 API이거나 API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차이점은 SDK는 API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라이브러리이지만, 종종 API 이상을 포함한다는 것입니다. | |
Branch 대시보드 | 유저가 분석에 액세스하고, 핵심 연동을 활성화하고, 링크 및 스마트배너를 생성하고, 딥뷰 템플릿을 구축하고, 유저를 추가하고 권한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웹 UI입니다. | |
Liveview | 이벤트 데이터의 실시간 피드. | |
퀵링크 | 대시보드 내에서 구축된 Branch 링크. | |
앱 링크(App Link) | 이는 자체 Branch 링크를 구축할 때 모든 브랜드에 제공되는 기본 Branch 도메인입니다. 앱 링크는 사람들을 앱 또는 특정 앱 콘텐츠로 안내합니다. 모든 앱 링크가 작동하려면 가동되는 라이브 웹사이트가 필요합니다. | |
숏링크 | A Branch link uniquely identified by its "alias," a unique path appended to the end of a Branch subdomain. | |
다이나믹 롱링크 | Branch 하위 도메인 끝에 일련의 쿼리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커스터마이즈된 Branch 링크입니다. | |
3p 링크 | 애드 네트워크 또는 SMS 제공업체와 같은 써드파티 특정 마케터의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된 특수 형식의 Branch 링크입니다. |
Branch 분석
용어 | 정의 |
---|---|
이벤트 온톨로지 (EO) | Branch에서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이벤트 분류의 이름입니다. |
페이지뷰 | A Pageview is measured every time a webpage loads with the Branch Web SDK. Put differently, a Pageview is tracked whenever the Branch Web SDK initializes. |
Branch CTA 뷰 (뷰) | 유저의 브라우저에서 렌더링되는 배너 또는 딥뷰의 횟수입니다. |
웹 세션 시작 | 웹 세션 시작은 웹 SDK가 있는 웹페이지가 새 탭에서 오픈할 때마다 또는 유저가 Branch 링크를 클릭하고 웹 SDK가 있는 페이지로 리디렉션될 때 측정됩니다. |
임프레션 | 임프레션은 유료 광고가 유저의 화면에 렌더링되는 것입니다. MMP API 또는 Branch 임프레션 링크를 통해 트래킹됩니다. |
클릭 | Branch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클릭이 발생합니다. |
Install | 설치는 소프트웨어를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는 행위입니다. 디바이스에서 앱을 처음 오픈할 때 Branch에서 측정합니다. |
열기 | 초기 설치 후 디바이스에서 앱을 오픈할 때마다 Open이 발생합니다. |
재설치 | 유저가 이전에 앱을 제거한 후 처음으로 앱을 설치할 때. |
Unique | 클릭 및 오픈과 같은 이벤트는 중복 제거되거나 Branch 링크 Graph를 통해 연동됩니다. |
Click-to-Install (CTI) | 앱 설치 수를 조회수로 나눈 값 |
Click-Through Rate (CTR) | 클릭 수를 광고 임프레션 수 또는 조회수로 나눈 값입니다. |
Click-to-Open (CTO) | 앱 오픈 수를 조회수로 나눈 값입니다. |
Branch 제품별 용어
용어 | 관련 용어 | 정의 |
---|---|---|
인앱 공유 | Branch 모바일 또는 웹 SDK를 사용하여 앱 또는 웹사이트의 딥링크(Deep Link)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전환을 유도합니다. | |
Referrals (앱 추천-리워드) | 인앱 공유에 연결하여 전환을 유도하는 링크를 공유한 유저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Branch의 보상 트래킹 도구입니다. | |
앱-투-앱 (App-to-App) | 한 앱에서 Branch 링크를 사용하여 유저를 다른 앱으로 라우팅합니다. | |
Event Tracking | Branch의 SDK를 사용하여 커스텀 이벤트를 트래킹하고 해당 이벤트를 Branch의 어트리뷰션 엔진에 연결합니다. 특정 캠페인에서 발생한 다운스트림 이벤트 수를 보여줍니다. | |
코호트 분석 | 코호트는 행동 특성을 공유하거나 지정된 기간 동안 특정 이벤트에 참여한 사람들의 그룹입니다 (예: "지난 10일 동안 설치한 유저"). 코호트 분석을 통해 마케터는 캠페인에 어트리뷰션한 인게이지먼트의 양과 인게이지먼트의 품질을 모두 비교할 수 있습니다. | |
웹-투-앱 (Web-to-App) | 웹에서 앱으로 트래픽을 유도하는 프리미엄 제품입니다. | |
Journeys (웹-투-앱 스마트 배너) | 유저가 앱을 설치하거나 오픈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웹페이지에 렌더링되는 Branch의 스마트배너입니다. | |
Accelerated Mobile Pages (AMPs) | Google에서 도입한 AMP는 AMP 결과가 우선시됨으로써 더 빠른 로드 속도와 더 나은 모바일 형식, 더 높은 검색 가시성을 제공하는 모바일용 웹페이지를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AMP는 콘텐츠를 전략적으로 렌더링하기 때문에 페이지를 빠르게 로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링크는 유저를 추가 콘텐츠가 아닌 검색 페이지로 다시 안내합니다. | |
Text Me the App (TMTA) | 유저가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Branch 링크 또는 콘텐츠에 대한 딥링크(Deep Link)를 문자로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데스크톱 웹 UI용으로 설계된 웹 SDK 기능입니다. | |
딥뷰 | Deepview는 다이나믹하게 생성된 웹페이지로, Branch 링크에 포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구축됩니다. 유저가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오픈하면 볼 수 있는 앱 콘텐츠의 미리보기를 표시합니다. | |
Data Feeds (데이터 연동) | 데이터를 표시하고 추출하는 프리미엄 제품입니다. | |
Webhook | "포스트백"이라고도 하는 웹훅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 서버 위치를 알리는 실시간 네트워크 핑입니다. | |
Data Integration | 일련의 사전 설정된 웹훅을 통해 트래킹된 Branch 데이터를 써드파티 분석 공급자에게 보내는 분석 서비스입니다. Event Ingestion은 반대로 Branch가 써드파티에서 이벤트를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 |
Export API | 고객이 지난 주 하루 동안 CSV 파일 목록의 모든 유저 레벨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API 엔드포인트입니다. | |
Query API |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동일한 캠페인 레벨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API 엔드포인트. | |
Universal Ads (광고 어트리뷰션) | 고객이 앱에 딥링크(Deep Link)되며, 모든 애드 네트워크 및 플랫폼에서 마지막 터치 어트리뷰션을 제공하는 광고를 생성할 수 있는 프리미엄 제품입니다. | |
퍼블리셔 | 디지털 자산의 광고 공간을 판매하는 웹사이트 또는 앱입니다. | |
광고주 | 자체 제품 및 서비스를 마케팅하기 위해 광고 공간을 구매하는 회사입니다. | |
애드 네트워크 | 애드 네트워크는 제품과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광고를 호스팅하려는 앱 및 웹사이트에 광고주를 연결하는 회사입니다. | |
Supply-Side Platform (SSP) | SSP 또는 Supply-Side Platform을 사용하면 광고 퍼블리셔가 SSP가 목록 및 소스 입찰을 표시하도록 하여 임프레션 인벤토리를 관리, 판매 및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
Demand-Side Platform (DSP) | DSP 또는 Demand-Side Platform은 가용 네트워크 및 퍼블리셔를 통해 마케터의 입찰을 처리하여 미디어 바이어가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여러 광고 및 데이터 교환 계정을 관리할 수 있는 기업 또는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 |
SAN, non-SAN | "셀프 어트리뷰팅 네트워크(SAN)"는 유저와 전환을 트래킹하여 광고 생태계 내에서 발생하는 다운스트림 동작을 직접 어트리뷰션하는 인프라를 갖춘 애드 네트워크입니다. non-SAN은 어트리뷰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Branch와 같은 써드파티를 필요로 합니다. | |
MMP | "Mobile Measurement Partner"는 SAN 프라이빗 API 접근이 승인된 써드파티에 대해 SAN에서 지정한 명칭입니다. | |
Fraud | 광고 인게이지먼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악의적인 퍼블리셔는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인게이지먼트를 가짜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Branch는 잠재적인 사기 활동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부정행위 방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
비용 수집 | 애드 네트워크에서 광고 지출 데이터를 수집하여 대시보드에서 캠페인 레벨 데이터와 함께 표시하는 Branch의 기능. 일부 선택된 네트워크만이 API에서 이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
Universal Email (이메일-투-앱) | 마케팅 이메일에서 Branch 링크의 사용을 트래킹하고 리포트를 위해 클릭 데이터를 ESP로 다시 전달하는 프리미엄 제품입니다. | |
ESP | "Email Service Providers"는 대규모 이메일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Salesforce와 같은 마케팅 플랫폼입니다. | |
CTD | "Click Tracking Domains"은 이메일로 전송된 링크에 적용되는 웹 리다이렉션으로, ESP 또는 써드파티 제공업체를 한 단계 거쳐서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경우 iOS의 유니버셜 링크(Universal Links)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단순화된 연동 | Branch를 가리키는 CTD에 CNAME을 적용하여 특정 구현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Branch 이메일 연동. Auto-Branchify는 웹 링크를 Branch 링크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입니다. |
기타 관련 용어
애드 스태킹(Ad Stacking) | 애드 스태킹은 애드 네트워크 또는 퍼블리셔가 하나의 광고 게재 위치 단위에 여러 광고를 쌓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사기 유형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유저에게 하나의 광고만 표시되지만 여러 광고주에게 비용이 청구됩니다. |
클릭 하이재킹 (Click Hijacking) | 클릭 하이재킹 (Click Hijacking)은 합법적으로 보이는 앱에 삽입되는 모바일 악성 코드로 생성되는 어트리뷰션 사기 유형입니다. 다른 애드 네트워크에서 사기 클릭이 생성되고 합법적 클릭이 감지된 직후 전송되어 앱 설치 이벤트에 대한 라스트 터치 위치를 클레임합니다. |
클릭 인젝션(Click Injection) | 클릭 인젝션 (Click Injection)은 클릭 하이재킹과 개념상 유사합니다. 유저가 디바이스에 이미 사기성 앱을 가지고 있고 정상적인 앱을 다운로드하면 사기성 앱이 이를 인식하고, 트래킹 코드와 디바이스 ID를 가지고 클릭을 리포트하면 마지막 터치 이벤트로 인정받게 됩니다. |
클릭 플러딩(Click Flooding) | 클릭 플러딩 (Click Flooding)은 일반적으로 봇이 가능한 한 많은 디바이스 ID를 순환하고 각 ID에서 반복적으로 클릭을 발생시킬 때 발생합니다. 클릭 플러딩 (Click Flooding)은 가짜 클릭이 유기적 설치를 주장하거나 설치가 완료되기 전에 광고의 "라스트 터치"를 훔치는 경우 사기로 이어집니다. |
디바이스 ID 재설정 부정행위 | Apple의 IFDA는 유저가 언제든지 IFDA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사기꾼은 이것을 이용해 매번 IFDA를 재설정하면서 앱을 반복해서 설치, 사용, 제거 및 재설치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광고 Fraud | 모바일 광고 Fraud는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전환에 대한 라스트 터치 포지션을 클레임하여 광고 예산을 훔치는 사기 행위를 말합니다. |
디바이스 에뮬레이터 | 디바이스 에뮬레이터는 모바일이 아닌 디바이스에서 가상으로 실행되는 모바일 운영 체제입니다. 개발자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앱을 테스트하는 데 유용하지만, 에뮬레이터를 광고 캠페인과 반복적으로 상호 작용하게 하는 사기에 이용될 수 있습니다. |
모바일 파밍 (Mobile Farming) | 모바일 파밍 (Mobile Farming)은 여러 대의 핸드폰을 사용하여 동시에 동일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사기꾼들이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용어는 특정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수십 또는 수백 대의 전화를 인게이지시키는 작업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쿠키 스터핑(Cookie Stuffing) | 쿠키 스터핑(Cookie Stuffing)은 유저 방문과 관련 없는 웹사이트의 써드파티 쿠키가 유저 모르게 백그라운드에 드롭되는 불법 어필리에이트 마케팅 관행입니다. |
ARPU | ARPU는 "유저 당 평균 수익"을 나타내며 앱의 지속가능성 또는 수익성에 이르는 경로를 결정할 때 유용합니다. 총 수익을 일정 기간 (보통 월간 또는 연간)의 구독자 또는 유료 고객 수로 나눈 값입니다. |
CPA | CPA 또는 Cost per Action은 주로 페이드 디지털 마케팅 캠페인에 사용되며 전체 캠페인 비용을 유저 액션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일부 애드 네트워크는 CPA 당 비용을 받으며, 실적이 좋으면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CPC | CPC 또는 Cost per Click은 마케터가 광고에 대한 각 클릭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을 트래킹하며 총 비용을 총 클릭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대부분의 광고주와 퍼블리셔는 CPC와 CPM (Cost per mille impression) 모델을 함께 사용합니다. |
CPI | CPI 또는 Cost per Install은 광고 지출을 특정 기간 동안의 설치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모바일의 경우, CPI 캠페인은 설치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에 게시하는 디지털 광고로 구성되며, 퍼블리셔는 회사에 각 설치에 대한 비용을 청구합니다. |
LTV | Lifetime Value는 한 유저가 전체 수명주기 동안 회사에 가져올 수 있는 가치입니다. |
유지율 | 리텐션은 마케터에게 설치 후에도 앱을 계속 사용하는 유저 비율을 알려주며, 세션을 활성화한 총 유저 수를 특정 기간의 설치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KPI | KPI 또는 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시간 경과에 따른 성공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KPI는 비용 절감, 매출/이익 개선, 고객 만족도 및 프로세스 개선의 네 가지 범주 중 하나에 속합니다. |
K-Factor | K-Factor는 앱 바이럴리티, 즉 기존 유저에 의해 생성된 신규 활성 유저 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K-Factor는 다음 방정식으로 계산됩니다: 일정 기간 동안 (다운로드-> 활성화) (활성화-> 공유) (공유-> 새로운 바이럴 기반 다운로드). |
매칭 정확도 | 백분율로 작성된 매칭 정확도는 어트리뷰션 공급자가 웹 및 앱 유저를 매칭시킬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신뢰 레벨을 나타냅니다. |
전환율 | 유저가 원하는 전환 액션을 취하는 비율입니다. |
파편화 | 주요 웹 플랫폼은 모두 독립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므로, 모두 딥링킹(Deep Linking) 표준이 다르며 딥링크(Deep Link)의 기능은 플랫폼의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
리타게팅 | 리타게팅은 앱 또는 웹사이트를 방문 (사람 기반 어트리뷰션)한 유저를 식별하여 운영되는 특정 유형의 타겟 광고입니다. |
휴면 사용자 | 휴면 또는 비활성 유저는 한때 관련 활동을 수행했지만 이후 오랫동안 활동하지 않은 유저입니다. |
User Agent | 유저 에이전트는 브라우저가 실행되는 디바이스 유형을 서버가 이해하는데 도움이되는 브라우저 요청 헤더의 필드입니다. 유저 에이전트는 또한 디바이스 시점 모델링 (Point-in-Time Modeling)과 같은 어트리뷰션 기술에 사용되는 정보의 일부입니다. |
호스티드 딥링크(Hosted Deep Links) | 호스팅된 딥링크(Hosted Deep Links)는 서로 다른 모든 딥링킹(Deep Linking) 표준을 관리하는 호스팅된 링크 플랫폼을 통해 실행되는 딥링크(Deep Link)입니다. |
모바일 배너 및 전면 광고 | 모바일 배너는 모바일 웹페이지의 화면 일부를 사용하여 유저가 앱에서 콘텐츠를 오픈하도록 유도합니다. "스마트" 배너는 유저가 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Open" 또는 "Install"이라고 말하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조정합니다. 배너가 작은 부분을 차지하는 데 반해 전면 광고는 화면의 많은 부분을 사용합니다. |
Updated about 1 month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