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nch에 개별 SKAN 포스트백을 전달하는 네트워크와 API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간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어떤 옵션이 더 낫습니까?
애드 네트워크가 SKAdNetwork 데이터를 MMP로 공유하는 두 가지 주요 방식이 있습니다:
- Forwarding the raw SKAN postbacks. This is the most common flow, and involves the network resending the individual conversion reports that iOS devices send to them. When ad networks forward these postbacks directly, MMPs are able to process and cryptographically validate the individual reports (as recommended by Apple), filling their traditional role of independently verifying data and ensuring trust by all parties.
- API를 통해 사전에 합산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식. 이 접근법은 대부분 대규모의 폐쇄형 플랫폼(Walled Garden) 네트워크 (종종 SAN 또는 셀프 어트리뷰팅 네트워크(SAN)라고 함)에 의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로우에서 각 네트워크는 개별적인 SKAN 포스트백을 수집하고, 내부에서 암호적 유효성 검증절차를 거치고, 이후 API를 통해 MMP에 사전 생성된 합산 결과만을 제공합니다. 이는 MMP가 옵션 1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개별 전환을 '검증'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API를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모든 네트워크가 SKAdNetwork 포스트백에 반영된 모든 데이터 dimension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To see which method is being used by a given network, please refer to this list.
Note: While individual SKAdNetwork postbacks are not technically 'aggregate data' (because each one corresponds to a single install — for more about the difference, please see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device-level and aggregate data?), the design of the SKAN system ensures that the data inside each postback is already at an aggregate level of detail.
Updated about 2 years ago